본문 바로가기
대학원 관련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 읽기 전략: 국내, 국외 논문 정리!

by cjangela 2025. 3.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강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음에도 쏟아지는 과제와 논문들로 정신없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대학원에 갓 입학한 분들은 무슨 논문을 읽어야 할지, 어떻게 읽어야 할지, 읽고 나서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함을 느낄 수도 있을 텐데요. 저 역시 처음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 비슷한 고민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오늘은 논문을 효율적으로 읽고 정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 합니다.

 

요즘 저는 종합시험을 앞두고 그동안 공부했던 자료들을 정리하는 중인데요. 미리미리 정리해 놓지 않아서 준비하는 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저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논문을 체계적으로 읽고 정리하는 방법을 미리 익혀 두시기를 바랍니다.

 

물론 논문을 읽는 방법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제가 소개하는 방법이 정석은 아니지만, 바쁜 일정 속에서 많은 논문을 빠르게 파악해야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1. 국내 논문 읽기

1) 초록(Abstract) 읽기

  • 논문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 부분으로, 연구의 목적, 방법, 결과가 간략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 초록만 잘 읽어도 논문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으니, 내 연구와 관련이 있는 논문인지를 빠르게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기 전에 초록을 먼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 불필요한 논문을 읽느라 시간을 낭비하는 일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2) 목차 및 서론(Introduction) 확인하기

  • 논문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목차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서론에서는 주로 연구의 배경, 필요성, 연구의 목적이나 질문, 가설 등이 설명됩니다.
  • 이를 통해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될지를 예측하고, 내가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성이 높은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 논문에서 다루는 개념과 연구의 차별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배경을 확인해야 합니다.
  •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의 연구를 정리하고, 해당 연구가 기존 연구와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합니다.
  • 이러한 내용을 읽으면서 내 연구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나 이론이 있는지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연구 방법 분석

  • 논문의 연구 방법을 분석하면 해당 연구가 신뢰할 만한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논문이 질적 연구인지 양적 연구인지를 확인하고, 데이터 수집 방법, 분석 기법, 연구 설계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 내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 있는지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5) 연구 결과 및 논의 확인

  • 연구 결과에서는 연구자가 실험이나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제시합니다.
  • 표나 그래프 등 시각 자료를 통해서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꼼꼼히 읽는 것이 좋습니다.
  • 논의 부분에서는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의미, 연구 질문과의 연관성을 설명하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도 제시됩니다. 따라서 연구의 실질적인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논의 부분을 꼼꼼히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서도 내 연구에 참고할 만한 점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참고 문헌 검토

  • 참고 문헌을 확인하면 중요한 선행 연구를 더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내가 진행하는 주제로 작성된 논문이라면, 해당 연구자의 논문을 추가로 보는 것도 유익합니다.

2. 국외 논문 읽기

1) 논문의 종류 확인

  • Journal Article(학술지 논문) :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신뢰도가 높습니다.
  • Conference Paper(학회 논문) :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으로, 최신 연구 등 동향을 파악할 때 좋습니다.
  • Review Paper(리뷰 논문) : 특정 분야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논문입니다.
  • Preprint(사전 공개 논문) : 공식 게재 전 공개된 논문으로, 신뢰도 확인을 필요로 합니다.

2) Abstract 먼저 읽기

  • 국내 논문과 마찬가지로 연구 목적과 주요 결과를 빠르게 파악하여 해당 논문을 활용할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 영어 논문이라도 초록은 비교적 쉬운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초록을 먼저 훑으며 논문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3) Introduction 확인

  • 연구 배경과 목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 Introduction을 통해 연구 질문과 가설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4) Figures & Tables 먼저 보기

  • 국외 논문은 전문 용어와 복잡한 문장이 많아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표와 그림을 통해 핵심 내용을 시각적으로 이해하여 논문의 핵심 내용을 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Methodology 분석

  • 사용된 데이터, 실험 방식, 분석 기법 등을 확인합니다.
  • 내 연구와 비교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6) Results & Discussion 집중해서 읽기

  • 연구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살펴봅니다.
  • 기존 연구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연구의 의의를 파악합니다.
  • 또한 연구의 핵심을 요약해 주기에 전반적인 내용을 다시 한번 이해하기에 유용합니다.

7) References 활용

  • 국내 논문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선행 연구를 더 찾아볼 수 있습니다.
  • 특정 연구자가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주제가 있다면, 관련 논문을 더 읽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3. 추가 팁

논문의 핵심을 빠르게 파악하기

  • 초록, 서론, 결론을 먼저 읽고 전체 논문을 읽을 것인지 결정합니다.
  • 표와 그림을 먼저 확인한다면,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 데 훨씬 수월할 것입니다.
  • 한 문장, 한 문장 해석하는 것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 논문 요약 및 정리하기

  • 좋은 논문들, 향후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논문들을 사전에 정리합니다.
  • 연구자, 연구 주제, 연구 핵심 내용, 연구 방법, 연구 결론 등으로 요약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정리해 둡니다.
  • 요약은 AI 요약 툴이나 챗GPT를 활용한다면 훨씬 쉽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노션을 통해 내가 읽은 논문들을 정리해 둔다면 나중에라도 간편하게 열람할 수 있으니, 활용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논문을 체계적으로 읽고 정리하면 학업과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도 자신만의 논문 읽기 루틴을 만들어 효율적인 대학원 생활을 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