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논문 작성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인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대학이나 대학원을 다니면서 레포트나 논문을 많이 작성하게 되죠. 이때 다양한 논문이나 뉴스 등 자료들을 참고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출처를 정확하게 표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표절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참고문헌이라고 해서 내가 원하는대로 아무렇게나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규칙대로 작성되어야 참고문헌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몇 가지 주요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려 합니다.
참고문헌 표기법은 APA양식, MLA양식, 시카고 양식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참고문헌 표기법은 논문을 투고하는 곳이나 교수님이 요구하는 양식에 맞춰 작성해야 합니다.
* 아래에 작성된 모든 예시는 허구입니다.
1. 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양식
1) APA 양식의 주요 특징
- 우리가 논문이나 과제를 할 때,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참고문헌 표기법입니다.
- 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특히 심리학, 사회학, 교육학 등의 학문 분야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 APA 양식은 미국 심리학회에서 정한 규칙에 따라 작성됩니다.
2) 내주 표기법
- 내주 표기법이란, 본문에서 우리가 인용한 부분에 출처를 작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 표기법: 저자명(출판연도) 혹은 저자명(출판연도, 페이지수)
예시) 김철수(2024) 혹은 김철수(2024, 35)
- 저자가 2명인 경우: 저자명&저자명(출판연도) 혹은 저자명과(와) 저자명(출판연도)
예시) 김철수&박지훈(2024) 혹은 김철수와 박지훈(2024)
-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 제1저자명 외(출판연도) 혹은 제1저자명 등(출판연도)
예시) 김철수 외(2024) 혹은 김철수 등(2024)
- 저자가 단체인 경우: 단체명(출판연도)
예시) 한국심리학회(2024)
3) 참고문헌 표기법
- 레포트나 논문 마지막 장에 참고문헌을 별도로 두어 본문에서 참고한 논문과 신문 등의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APA 양식의 기본 표기법: 저자명. (출판연도). 논문 제목. 학술지 이름. 권(호). 페이지 번호
예시) 김철수.(2024).심리 치료에 대한 연구.한국심리학회.34(2).p.255-285.
- 목록은 저자 이름의 알파벳, 가나다 순으로 작성하며, 한국, 중국, 일본, 서양 서적 순으로 정렬
예시)
김철수.(2024).심리 치료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34(2).p.255-285.
나미리.(1999).짱구 심리에 대한 심층 연구.한국심리학회.25(1).p.658-900.
Tiger.(2012).A Study on the Psychology of Heavy Drinkers.Journal of Psychology, 10(2). 123-145.
- DOI나 URL은 각 문헌 표기의 마지막으로 배치
4) 자료유형별 참고문헌 표기법
- 책(단행본): 저자명. (출판연도). 제목(판). 발행처.
예시) 김철수.(2024).심리에 대하여.학지사.
- 학위논문: 연구자명. (발행연도). 논문 제목[학위명, 수여 기관명(대학)].
*외국의 경우: 연구자명. (발행연). 논문 제목[(학위명-생략 가능), 수여 기관명(대학)].
예시) 김철수.(2024).심리 치료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00대학교 대학원].
- 학술지(정기간행물):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간행물명(단체명),권(호), 논문 수록 면수.
예시) 김철수.(2024).심리 치료에 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4(1),127-157.
- 신문기사: 기자명. (발행일). 제목. 신문사명. 해당 기수 게재 면수(또는 URL)
예시) 김유리.(2021.11.1).사람들의 수명 연장 호응.스튜핏신문.https://stupid.news.com/article/123456
- 웹사이트: 저자명. (발행연도). 전자문서명. URL 혹은 웹사이트명. (연도 미상). URL
예시) 무용지물.(2022).물욕의 개요.https://www.nothing.go.kr/mulyork/overview
- 전자저널 및 보고서 등: 저자명. (발행연도). 보고서 제목. (보고서 번호). 발행기관명. URL
예시) 박짱구.(2011).생활환경에 대한 조사 결과(125).미선집.httls://misun_house.or.kr/mylife
지금까지 APA양식의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국내 논문의 참고문헌을 APA 양식으로 작성할 때는 모든 곳에서 완벽하게 통일된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에서 요구하는 양식을 반드시 확인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표기법에 대해서 익히시는 게 중요하지만, 요즘은 논문 사이트에서 쉽게 인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양식별로 표기방법을 복사할 수 있게 마련해놓았으니 편하신 방법대로 익히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성공적인 논문 작성 과정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대학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문헌 표기법 살펴보기 #3: Chicago(시카고) 양식 (1) | 2024.09.24 |
---|---|
참고문헌 표기법 살펴보기 #2: MLA 양식 (2) | 2024.09.14 |
대학원 영어 논문 번역하기 - PDF 자체 번역 (1) | 2024.09.10 |
대학원 영어 논문 번역하기 좋은 사이트 TOP 4 : ChatGPT, 파파고, 구글, DeepL (4) | 2024.09.10 |
대학원 휴학 & 복학 그리고 수강신청 : 절차 및 방법 (1) |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