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위, 역할
- 베버는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사회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동작을 사회적 행위라고 불렀다. 한편, 둘 이상의 사람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행위들을 주고받는 것을 사회적 상호작용이라고 한다. 미드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대부분이 상징을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징적 상호작용이라고 불렀다.
-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는데, 그 주요 유형으로는 교환, 협동, 갈등 그리고 경쟁 등이 있다. 사람들이 보수나 보답을 받으려는 목적으로 서로에게 행위를 한다면, 그것은 교환이라 할 수 있다. 협동은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나 공통의 이해와 관심을 추구하기 위해 함께 힘을 모아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갈등은 둘 이상의 행위자 또는 집단이 동일한 자원을 서로 소유하려 하거나 주어진 자원을 분배하는 방식에 이견이 있어서 서로 다투는 것, 또는 추구하는 가치나 의견이 달라 상충된 행동을 하면서 서로 다투는 것을 말한다. 경쟁이란 둘 이상의 행위자 또는 집단이 동일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로 다투는 것을 말한다.
- 사람들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사회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처럼 어떤 집단이나 사회관계 속에서 개인이 속해 있는 위치를 사회적 지위 또는 지위라고 부르며, 각각의 지위에 따라 사회적으로 기대하는 행위를 사회적 역할 또는 역할이라 말한다. 지위는 여러형태가 있으며, 소속 및 위치에 따른 지위로 나누어진다.
- 본인의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저절로 주어지거나 속하게 되는 지위를 귀속 지위라 하며, 본인의 의지나 노력을 통해 얻게 되는 지위는 성취 지위라고 부른다. 현대사회에서 개인들은 다양한 사회적 지위를 지니며, 하나의 지위가 여러 기준에 따라 평가되기도 한다. 한 사람의 사회적 지위들이 평가 기준에 따라 그 수준을 다르게 평가받는 상황을 지위 불일치라고 한다.
- 사회마다 특정한 지위에 대해 사회적 규칙이나 규범에 따라 특정한 역할을 하도록 요구되는 기대가 있는데, 이것을 역할 기대라 한다. 그리고 그 지위에 따른 역할을 하는 것을 역할 수행이라고 한다. 이럴 경우 사람마다 역할 기대와 역할 수행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하는 때도 있다. 한편, 개인이 지닌 사회적 지위가 다양할 경우, 기대되는 역할 간에 모순과 불일치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역할 갈등이나 역할 긴장이 생겨난다고 한다. 역할 갈등은 한 개인이 차지하고 있는 둘 이상의 지위에 따른 서로 다른 역할 사이에 모순이 있을 때 생겨나는 심리적 갈등을 일컫는다. 역할 긴장은 한 개인이 차지하고 있는 하나의 지위에서 서로 다른 역할들이 기대될 때 생겨나는 긴장을 말한다.
- 사회화는 사회적 지위를 취득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학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사회는 사회화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사회변동으로 역할 분화나 가치관 변화가 심해지면 역할 긴장이나 역할 갈등이 더 고조될 수 있다.
2. 사회집단과 조직의 특성
- 사회집단은 사람들이 맺고 있는 사회관계가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지닐 때 형성된다. 첫째, 공통의 관심이나 목적을 지닌 둘 이상의 사람들이 모아여야 한다. 둘째, 이들이 소속감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셋째, 집단 내부 구성원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고유한 관행, 규범, 규칙, 문화 등이 있어야 한다.
- 사회조직은 구성원 간의 짜임새에 주목하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첫째, 공통의 관심과 목적,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 공통의 규칙·규범 등을 포함하며, 목적이 뚜렷하고 규칙과 규범이 더 엄격하다. 둘째, 조직으로서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적 요소들과 이들 간의 짜임새라는 의미를 지니며, 구성원의 경계가 더 분명하고 지위와 역할 체계가 더 전문화·체계화되어 있다. 사회집단과 사회조직은 유사하지만, 그 쓰임새에 차이가 있다.
- 한 개인이 사회 속에서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데는 사회집단이나 사회조직의 영향력이 크다. 사회집단에서의 개인의 경험과 상호작용은 사회화를 통한 정체성 및 성격형성의 중요한 자원이 된다.
- 집단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개인들의 행위에 대한 일정한 규제가 필수적이다. 규제는 보상과 제재라는 이중적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벌체계를 통해 집단은 개인이 집단의 목표에 충실히 따르도록 규제할 수 있게 된다.
- 한 개인이 사회집단에 소속되어 있을 때 개인은 집단의 목표를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입장과 집단이나 조직의 목표를 강조하는 입장이 대립될 수 있다.
- 사람들은 항상 자신이 원하는 집단이나 조직에만 속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자연적으로 속하는 집단들도 있고,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소속되어야 하는 집단이나 조직들도 있다. 이것은 집단이나 조직의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자원 배분을 둘러싼 권력관계나 인간관계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 사회집단이나 사회조직은 일반적으로 집단을 이끌어나가는 지도자를 필요로 한다. 리더십은 사회집단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흔히 도구적 리더십과 표출적 리더십으로 분류된다. 도구적 리더십은 집단의 실리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하며, 표출적 리더십은 집단 구성원들 간의 정서적 화합을 이끌어내는 데 적합하다.
- 리더십은 지도자와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형태에 따라 권위주의, 민주주의, 자유방임주의 유형들로 구분된다. 권위주의 유형의 지도자는 수직적인 관계를 강조하며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명령을 내리려 한다. 민주주의 유형의 지도자는 수평적 관계를 강조하며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려 한다. 자유방임주의 유형의 지도자는 구성원들 각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허용하려 한다.
출처: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2014). 비판사회학회
'대학원 관련 >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 일상생활과 소비대중문화 (0) | 2024.08.26 |
---|---|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 사회적 상호작용, 집단, 조직 2/2 (0) | 2024.08.26 |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 문화와 사회학 2/2 (0) | 2024.08.25 |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 문화와 사회화 1/2 (0) | 2024.08.24 |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 사회구조와 사회변동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