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관련/사회학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 일상생활과 소비대중문화

cjangela 2024. 8. 26. 16:40
반응형

1. 문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 뒤르켐은 사회의 물질적·산업적 영역과 정신적·도덕적 영역을 구분하면서, 사회집단의 통합을 위해서는 정신적·도덕적 통합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생각했으며, 이런 점을 보여주기 위해 집합 표상 개념을 제시했다. 베버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내재하는 의미의 주의주의적 토대를 강조했으며, 인간 행위는 문화적 가치에 의해 형성된 개인의 내면적 의지나 동기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짐멜 역시 현대의 화폐물신주의를 예견했으며, 문화적 대상의 다양한 내적 가치는 돈의 논리가 지배하게 되면서 매우 이질적인 요소들을 돈으로 평가하는 획일화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고전사회학자들의 문화에 대한 관심은 당시 경제 중심적·물질 중심적 사회관에 대한 비판으로 제시되었다.
  • 윌리엄스(R. Williams)는 문화에 대한 개념을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문화는 지적·정신적·심미적인 계발의 일반적 과정이고, 둘째,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한 생활양식이며, 셋째,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이라고 본다. 여기서 문화에 대한 정의는 정신문화, 생활양식의 총체, 의미 형성적 실천들과 문화적 텍스트를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대중문화와 여가생활이 발달하면서 사회학에서 문화는 대체로 부분적·특수적 의미로 사용되는데, 현대적 문화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첫째, 문화는 지적·정신적·심미적·예술적·오락적 활동 및 그 산물들을 의미한다. 둘째, 소비와 여가생활을 포괄하는 영역이 되며, 소비생활 자체가 일종의 문화생활이 되었다.
  • 현대사회에서 문화는 특정 사회나 집단에서 형성되는 의미 형성 체계 또는 상징체계로서, 개인들이 다양한 의미나 감정을 느끼고 소통하는 담론적 과정을 수반한다. 이 경우 문화는 의식, 관념, 가치, 규범, 정서 등을 포괄하는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지닌다.
  • 영국의 비평가 아널드(M. Arnold)는 문화를 일상생활로부터 최대한 떨어진 고상한 가치를 지닌 창조적 작업의 산물로 규정했다. 정신적 완성물로서의 문화 개념은 고급 문화만이 진정한 문화라고 간주한다. 반면에, 영국의 문화주의 이론가인 톰슨(E. P. Thompson)은 문화는 평범한 사람들의 경험, 가치, 사상, 행동, 욕망이 포괄적으로 조립된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러한 문화를 민중문화 또는 민속문화로 불린다. 현대사회에서는 대중매체의 기술적 발달로 대중 문화를 향유하며 살고 있다.
  • 하위 문화는 일반적으로 사회 전체가 공유하는 문화와 달리 특정 하위집단만이 지니는 특수한 문화를 의미한다. 하위문화들 중에서도 주류 문화에 저항하는 소수집단 또는 비주류 집단의 문화를 특히 대항문화라고 한다.
  • 문화는 대다수가 공유하는 생활양식이 아닌 사회집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특수한 이데올로기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지배집단 또는 주류집단이 자신들의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집단에 확산시켜 보편적인 문화로 정당화하는 과정은 문화적·이데올로기적 지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피지배집단의 저항을 불러일으켜 문화의 영역에서 이데올로기 투쟁이 이루어지게 된다고 하겠다.
  • 지구상의 여러 민족은 각각 고유한 민족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민족문화 간의 접촉과 교류도 확대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민족문화 간의 접촉과 교류는 대등한 관계에서 상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문화제국주의는 물질적·물리적으로 우월한 민족이 자신의 문화를 약소한 민족에게 강요하여 문화의 포섭이나 해체를 낳는 현상을 말한다. 문화제국주의는 기본적으로 서양의 자민족중심주의에 기초하고 있으며, 특히 자본주의적 상품화와 결합하면서 서양문화를 지구적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2.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 대중문화는 기본적으로 대중매체를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고 유통된다는 점에서 대량문화이며, 대중매체의 발달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매체화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 대중문화는 대중매체를 통해 제도적으로 생산되고 전파되는 음악, 드라마, 오락 등 상징적·정신적 생산물로서 대중들이 소비하고 즐기는 문화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중매체가 발달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매체의 산업화·상품화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대중매체는 문화의 상품화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는 문화라는 점에서 상품화된 문화 또는 상업문화라고 할 수 있다.
  • 대중문화는 전통 민중문화와 차이를 보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지닌다. 첫째, 대중문화는 다양한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주체가 되도록 했다. 둘째, 대중매체의 확산은 기존의 여가문화와 관습적인 생활문화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셋째, 대중문화는 획일성과 수동성을 지닌다. 넷째, 대중문화는 다양성과 창조성을 지닌다. 다섯째, 대중문화는 지리적 확산성을 지닌다. 여섯째, 대중문화는 가족이나 국가가 담당했던 전통적인 교육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 초기 사회과학자들의 대중문화에 대한 시각은 부정적이었다. 대중문화를 전통에 대한 파괴로 간주했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대중문화를 자본주의 사회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문화산업에 의해 생산된 대량문화로 이해했고,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역시 대중문화를 지배계급의 이익을 은폐하면서 자본주의 질서를 유지하는 허위의식 즉, 이데올로기로 보았다. 문화산업은 대중문화를 비판하기 위해 프랑크푸르트학파가 고안한 비판적 용어였으며, 대중 기만적 계몽으로서 노동자들이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며 눈앞에 보이는 것을 그대로 믿는 일차원적 사고에 매몰되어 비판적 의식이 약화되도록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 대중문화는 대중이 공유하는 문화이기는 하지만, 개인들이 개별적으로 매체를 향유하게 되며 이는 사회적 교류를 제약함으로써 대중의 삶을 파편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의 영향이 늘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문화상품의 소비를 보편화함으로써 대중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주도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열어가기도 한다.
  • 대중문화의 순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수 특권층이 누리던 문화를 대중화함으로써 문화의 평등과 민주주의 의식을 확산시켰다. 둘째,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오락과 휴식을 제공함으로써 삶을 더욱 풍요롭게 했다. 셋째, 대중들에게 새로운 지식, 정보, 가치, 문화 등을 전달함으로써 대중들이 더욱 합리적이고 개방적인 사고와 태도를 지니고 새로운 여가문화나 놀이문화가 확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대중문화의 역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문화의 획일성으로 문화적 다양성이 약화될 수 있다. 둘째, 대중문화의 상업화·상품화는 선정적·쾌락적 문화를 확산시켜 문화를 저급화시킬 수 있다. 셋째, 대중문화는 획일적 사고, 쾌락 추구의 태도를 확산시키게 되면 대중들의 정치적 무관심과 비판의식의 약화를 조장하게 되어 정치의식과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이 쇠퇴할 수 있다. 넷째, 대중문화의 생산과 전파는 특권적 소수에 의한 정보 왜곡과 여론 조작에 이용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출처: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2014). 비판사회학회